민스씨의 일취일장

Raspberry Pi | 홈서버 구축을 위해 구매한 라즈베리파이5 본문

Projects/Personal Server Build

Raspberry Pi | 홈서버 구축을 위해 구매한 라즈베리파이5

읻민스 2025. 10. 6. 17:37
반응형

홈서버 구축을 위해 구매한 라즈베리파이5 언박싱 관련 글이다. 직적 구매해 작성하는 내돈내산 콘텐츠이다.

홈서버 구축을 위해 구매한 라즈베리파이5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썸네일 이미지이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개인 서버 구축 프로젝트

웹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이래로, 꼭 서버를 직접 만들어 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하지만 그 동안엔 서버가 필요할 땐 AWS를 사용해서 서비스 구축에 집중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서버 구축에만 한 세월 보낼것이란 우려로 미루어 두었다. 하지만 이제는 더이상 이 마음을 Bucket List안에만 두고 싶지 않아서 일단 필요한 장비부터 사들이기로 마음 먹었다. 그렇게 '개인 서버 구축 프로젝트'가 시작한다(?)!

Raspberry Pi 5

그렇게 구매하게 된 첫번째 장비는 '라즈베리파이 5'이다. 홈서버를 구축할 때, 요즘 미니PC를 많이 사용하고, ydmins 또한 그렇게 하려고 했지만. 추후에 오케스트레이션도 해보고 싶고, 학습도 할겸 좀 더 Low한걸 (lower하지 않을 수 있음) 첫 과제로 삼아 보고자 했다. 일단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에 이야기 하도록 하고, 일단은 구매한 제품을 기록해 두려고 한다.

Unboxing

라즈베리 파이는 구매하는 곳에 따라서 패키징이 살짝 다르다. ydmins는 처음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간 스타터팩처럼 구성된 패키지를 구매하였고 그래서 살짝 비용이 더 나갔을 것으로 보인다.

비기너 팩

ydmins가 구매한 제품은 주황색 상자에 담겨져 온다. 살짝 예전 미니카 감성이 느껴진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스타터팩이 테이블 위에 놓여있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스타터팩

기본 기타 구성품

기본 구성품으로 HDMI 케이블, 랜선, 카드리더기, micro SD card, 충전기 형태의 전원 공급기가 있다. 이 것들이 패키지로 구매한 이유이기도 하다. 솔직히 하나하나 꼭 필요한 구성품인지는 모르겠으나, 막상 필요할때 없으면 작업이 지체될 수 있어서 처음엔 다 있는 것으로 구매하였다.

HDMI 케이블 모습이다.랜선 케이블 모습이다.카드 리더기 모습이다.Micro SD Card 모습이다.충전기 모습이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스타터팩 기본 구성품

Raspberry Pi 5 본체

ydmsin가 구매한 제품은 8GB 제품이다. 8GB가 최고? 사양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본 포스팅을 작성하는 중에 16GB 제품이 있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벼운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8GB면 충분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고, 일단 직접 사용해봐야 더 필요한지 아닌지 알 것 같은 마음도 있었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라즈베리파이 상자가 테이블 위에 놓여있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라즈베리파이 상자

상자 뒷면에 보면, 제품의 스펙이 적혀 있다.

라즈베리파이 상자 뒷면 스펙 모습이다.라즈베리파이 상자 앞면 모습이다.라즈베리 파이 상자 뒷면 스펙 모습이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상자 모습

Features
- 64-bit quad-core Cortex-A76 processor
- 8GB LPDDR4X SDRAM
- 2 micro HTMI ports (up to 4Kp60)
- 2 USB 3.0 ports
- 2 USB 2.0 ports
- 2 4-lane connectors for camera or display peripherals (sold separately)
- Gigabit Ehternet port
- 802.11b/g/n/ac wireless
- Bluetooth 5.0
- PoE-capable (requires PoE HAT, sold separately)
- PCLe expansion connector (reuqired PCIe adapter, sold separately)
- 5V/5A USB-C power supply recommended for best performance, 5V/3A minimum requirement (sold separately)

내용을 정리해 보면 이와 같다. 작은데 상당히 많은 포트가 장착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처음 사용해 보는 입장에서)

상자 속에 라즈베리파이가 놓여있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상자 속 라즈베리파이

상자를 개봉해 보면, 위와 같이 초록 보드위에 부품들이 꽂혀있는 라즈베리파이(?)를 볼 수 있다.

상자 속 설명 모습이다.상자 속 설명 모습이다.상자 속 설명 모습이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상자 속 설명

그리고 상자 안에는 정말 알차게 정보들을 작성해 놓았다. 따로 메뉴얼을 주는 대신 작성해 놓은 것 같은데, 좋은 생각인 것 같다.

Active Cooler

그 다음 또 다른 제품은 'Active Cooler'이다. 왜 Active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알아보니, Fan이 움직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만약 Passive Cooler라면 단순 방열판과 같은 방식을 말한다고 한다. 이 제품은 기본 구성품인지, 스타터팩에 포함된 것인지는 모르겠다. 추측하자면, 상자가 따로 있는 것으로 보아, 스타터팩이라서 들어 있는 것 같다.

Active Cooler 상자가 테이블 위에 놓여있다.Active Cooler 제품이 테이블 위에 놓여있다.Active Cooler 뒷면 모습이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Active Cooler

본체 프레임

마지막 구성품은 생보드판으로 구성된 라즈베리파이의 케이스 역할을 해주는 본체 프레임이다.

본체 프레임 부품이 테이블 위에 놓여있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본체

이 부품들을 꺼내보니까, 조립 장난감 같아서 재밌을 것 같단 느낌이 조금 더 올라갔다. 이 부품도 스타터 팩이라서 들어 있었던 것일 거라 추측한다.

본체 프레임 부품 구성품들이 테이블 위에 놓여있다.본체 프레임 부품 모습이다.본체 프레임 조인트 부품 모습이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erry Pi 5 Unboxing - 본체 프레임 부품

스타트

이제 라즈베리파이를 구매했으니 하나하나 알아가면서 서버 구축을 시작해 보려고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