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스씨의 일취일장

Raspberry Pi | 디바이스 초기 세팅 - Active Cooler 장착 및 SD 카드 삽입하기 본문

Projects/Personal Server Build

Raspberry Pi | 디바이스 초기 세팅 - Active Cooler 장착 및 SD 카드 삽입하기

읻민스 2025. 10. 11. 22:43
반응형

라즈베리파이 디바이스 초기 세팅 과정의 일환으로 Active Cooler를 장착하고 SD 카드를 삽입하는 과정에 대한 글이다.

Raspberry Pi - 디바이스 초기 세팅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rry PI - Device Initial Settings 썸네일 이미지이다.
Personal Server Build - Raspberry PI - Device Initial Settings

Active Cooler 장착

일단 라즈베리파이를 실행하기 앞서, 구성품으로 받은 액티브 쿨러를 장착해 보려고 한다. 쿨러를 장착하는건 필수 작업은 아닌데, 있으니까 장착하는 것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쿨러와 라즈베리파이가 나란히 놓여있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장착 방법

장착 방법은 상자에 보기 쉽게 표현돼 있었다. 상자에 표시된 부분에 쿨러를 끼면 되는 것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라즈베리 파이에 쿨러를 장착할 부위가 표시되어 있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1) Activce Cooler 2) Raspberry Pi

쿨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꽂는 곳이 플라스틱 갈고리(?) 형식으로 되어 있었다. 밀어넣으면 플라스틱이 좁아졌다가 다시 펴져 고정되는 형식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가 놓여있다.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 장착핀 모습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1) Active Cooler 2) Activce Cooler 장착핀

플라스틱 고정핀으로 쿨러를 고정한 모습이다. 뒷면을 살펴보면 플라스틱 갈고리 부분이 뽈록 튀어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를 장착한 윗면 모습이다.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를 장착한 아랫면 모습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1) 쿨러 장착한 윗면 2) 쿨러 장착한 아랫면

회선 연결

이제 마지막으로 쿨러를 동작키기 위한 회선 연결이다. 회선 연결도 상자 그림을 자세히 보면, 빨간색 선이 오른쪽을 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 장착도 이와 마찬가지로 해주면된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 상자에 표현된 회선 연결 방법 모습이다.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의 회선 모습이다. 노란색, 검은색, 파란색, 빨간색 선이 나란히 있는 모습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 회선 연결

장착 완료

장착 완료한 모습이다. 선을 좀 더 깔끔하게 정리하고 싶지만, 현재는 여기까지가 최선으로 보인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 장착을 완료한 모습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Active Cooler 장착 완료

SD 카드 장착

이제 정말 중요한 SD카드를 장착할 것이다. 지난 POST에서 OS를 이 SD카드에 넣어둔것으로 알 수 있듯이, 라즈베리파이에 OS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저장소 역할도 수행한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SD 카드와 라즈베리 파이가 나란히 놓여있는 모습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SD 카드와 라즈베리파이

SD카드는 라즈베리파이의 아랫부분에 장착한다. 밑면을 보면 장착부가 보인다. 이 곳에 아래 사진과 같은 모습으로 넣어주면 된다. 참고로 마지막 사진이 모두 들어간 것이니, 더 넣기 위해 무리하게 밀어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라즈베리파이 아랫면 SD 카드 장착부 표시가 되어 있는 모습이다.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라즈베리파이에 SD 카드를 장착하고 있는 모습이다.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라즈베리파이에 SD카드가 장착 완료된 모습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 SD 카드 장착

초기 세팅 완료

Active Cooler와 SD 카드를 장착하므로서 초기 세팅이 완료 되었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을 완료한 모습이다.
Personla Server Build - Raspberry Pi 초기 세팅 완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