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jects (25)
민스씨의 일취일장
Newton Project로 Flutter를 이용해 몸무게 기록 안드로이드 앱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글은 Dashboard Page 구현에 대한 글이다.구현 1 - Dashboard PageProject Initial Setting구현 과정에서 가장 먼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main.dart에서 한 페이지이지만 route 설정을 해주었다. 그런 다음 지난 기획편에서 AI를 활용해 만든 UI를 기반으로 앱 개발을 시작하였다. Flutter | Android | 몸무게 기록 앱 - 기획Flutter로 Android용 몸무게 기록 앱을 개발하는 과정 중 기획과정에 대한 글이다.Flutter 몸무게 기록 앱 - 기획동기공식적 동기오랜 시간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습관이 있다. 바로 아침마다 몸무게를ydmins...
Flutter로 Android용 몸무게 기록 앱을 개발하는 과정 중 기획과정에 대한 글이다.Flutter 몸무게 기록 앱 - 기획동기공식적 동기오랜 시간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습관이 있다. 바로 아침마다 몸무게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것이다. ydmins는 카카오 개인톡방에, 다른 가족들은 달력이나, 별도로 만든 1년짜리 A4 용지에 기록을 한다. 이 습관은 다이어트 습관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현재의 방식은 다이어트 습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 것 외에, 큰 효용가치가 없다. 왜냐하면 일단 기록은 했지만 데이터를 되돌아 보는 경우가 거의 없어, 기록으로써의 가치를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다. 또 이전에 기록해 둔 노트 혹은 종이가 어디있는지 기억도 잘 안난다. (버리진 않았지만) 좋은 습관..
라즈베리파이 디바이스 초기 세팅 완료 후 첫부팅하는 과정에 대한 글이다.Raspberry Pi - 첫부팅 & SSH 접속첫 부팅이제 사용 준비는 마무리 했으니, 부팅을 해보려 한다. 라즈베리파이는 별도의 전원 버튼이 존재하지 않고, 케이블을 연결하면 바로 부팅이 되는 구조이다. 아래 사진을 보면 라즈베리파이 한 켠에 C타입 케이블 연결부가 있는데, 이부분에 케이블을 연결하면 부팅된다.케이블을 연결하면 LED 인디케이터에 전원이 들어 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록불이 들어오면 성공적으로 부팅이 되었다고 보면 된다.SSH 접속라즈베리파이를 직접 모니터에 연결해서 조작할 수도 있지만, ydmins는 노트북에서 SSH로 접속하려고 한다. ✅ 해당 작업을 위해선 노트북과 라즈베리파이가 동일한 WIFI에 연결되..
라즈베리파이 디바이스 초기 세팅 과정의 일환으로 Active Cooler를 장착하고 SD 카드를 삽입하는 과정에 대한 글이다.Raspberry Pi - 디바이스 초기 세팅Active Cooler 장착일단 라즈베리파이를 실행하기 앞서, 구성품으로 받은 액티브 쿨러를 장착해 보려고 한다. 쿨러를 장착하는건 필수 작업은 아닌데, 있으니까 장착하는 것이다.장착 방법장착 방법은 상자에 보기 쉽게 표현돼 있었다. 상자에 표시된 부분에 쿨러를 끼면 되는 것이다.쿨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꽂는 곳이 플라스틱 갈고리(?) 형식으로 되어 있었다. 밀어넣으면 플라스틱이 좁아졌다가 다시 펴져 고정되는 형식이다.플라스틱 고정핀으로 쿨러를 고정한 모습이다. 뒷면을 살펴보면 플라스틱 갈고리 부분이 뽈록 튀어나와 있는 것을 볼..
Raspberry Pi 초기 세팅 과정 중 OS 설치 과정에 대한 글이다.Raspberry PI 초기 세팅 - OS 설치하기 Raspberry Pi 부팅 과정 이해하기OS를 설치하기 전에, 라즈베리파이의 부팅 과정을 이해하면 좋다. 부팅(booting)이라 하면, 컴퓨터가 작동을 시작하면 저장장치에 있던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려 실행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을 일반 PC와 비교하면서 살표보도록 하자.일반 PC 부팅 과정일반 PC(x86 기반 CPU)에 전원이 연결되면 Firmware(BIOS/UEFI)가 가장 실행된다.by Firmware(BIOS/UEFI)하드웨어 점검 및 초기화(POST)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웅영체제 프로그램이 담겨 있는 부트 디바이스를 탐색한 뒤, 부트로더를 실행(l..
Raspberry Pi에 대해서 알아보는 포스팅이다.Raspberry Pi에 대해서 알아보기본격적으로 서버 구축에 앞서, 라즈베리파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솔직히 잘 몰라서 글쓰는 핑계겸 공부를 해보려고 한다.Raspberry Pi란?영국의 Raspberry Pi에서 만든 저가, 소형 컴퓨터이다. '컴퓨터 교육 보급'을 목표로 개발되었지만, 크기와 가격의 장점으로 현재는 IoT, 로봇, 서버, 미디어 센터, 개발 보드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면적은 신용카드 크기 정도이다.1 - ARM 기반 CPU 아키텍처라즈베리파이는 ARM Cortex 계열 CPU를 사용한다. 즉, x86/x64 칩에 특화된 우리가 늘 사용하던 Windows OS는 사용할 수가 없다. 대신 ARM 기반 C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