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데이터구조
- 부트캠프
- 플러터
- grafana
- MySQL
- 자바백엔드
- error
- 도커
- 자바
- nGrinder
- 후기
- 백엔드
- 알고리즘
- Spring
- 백준
- 코딩테스트
- F-Lab
- AWS
- github
- 레디스
- Flutter
- backend
- java
- 트러블슈팅
- 멘토링
- IntelliJ
- 에프랩
- FLAB
- 성능테스트
- EC2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3)
민스씨의 일취일장

VisualVM 사용하며 겪은 시행착오와 사용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VisualVM이란?VisualVM은 Java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성능 모니터링 및 프로파일링 도구이다.VisualVM 사용방법VisualVM은 응용프로그램으로, 간단하게 다운만 받으면 바로 실행할 수 있다.설치아래 링크에서 자신의 OS에 맞는 VisualVM을 다운 받으면 된다. VisualVM: DownloadFirst Steps Unzip the downloaded archive. The archive already contains the top-level visualvm directory. Start VisualVM by invoking the binary appropriate for your OS:visualvm\bin\visu..

F-Lab Java Backend 과정 10주차 후기 글이다.F-Lab Java Backend 과정 10주차10주차 멘토링 주제10주차 멘토링 주제는 아래와 같다.이론1. Spring Security2. Intrastructure as Code3. Load Balancer & API Gateway프로젝트1. Git Command에 맞춰 코드 리팩토링2. AWS EC2에 배포된 서비스와 RDS 연결하기3. 컴퓨터 2대를 nGrinder Controller와 Agent로 구성해 클라우드에 배포된 서비스의 성능테스트 환경 구축4. EC2에 서비스를 또 하나 배포한 뒤 Nginx 로드밸런서 구축하기프로젝트EC2에 배포된 서비스와 RDS 연결하기RDS 연결하는 작업은 워낙 많이 해봤기 때문에 간단하게 끝날거라고 ..

F-Lab Java Backend 과정 2개월 후기 글이다.F-Lab Java Backend 과정 멘토링 2개월 후기어느덧 7월 한 달이 모두 지나고, F-Lab 멘토링을 진행한지 2개월이 지났다. 중간 점검을 하면서 지난 한 달을 돌아보려고 한다.방향 점검내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선 기준이 필요한데, F-Lab 멘토링을 시작할 때 가졌던 목표를 그 기준으로 삼아보려고 한다. 그 기준으로 지난 2개월을 살펴보고 잘 하고 있는지 또는 목표를 수정할 필요가 있을지 살펴보자.시작할 때의 목표이 글을 작성하면서 1개월차 후기를 다시 읽어보았다. 그 당시 목표는 "깊이 있는 지식 수준"을 갖추는 것이었다. 이 목표를 보니, 멘토링을 처음 시작할 떄가 새록새록 생각났다.두 달 동안 학습한 내용..

F-Lab Java Backend 과정 9주차 후기 글이다.F-Lab Java Backend 과정 9주차9주차 멘토링 주제9주차 멘토링 주제는 아래와 같다.이론1. Spring Bean Scope2. Spring MVC3. Spring Transaction4. Spring Security5. APM프로젝트1. 프로젝트 도커 컨테이너화 하기2. 도커 컨테이너 클라우드 서버에 배포하기3. nGrinder를 이용해 로컬 환경 테스트 하기4. VisualVM을 이용해 로컬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하기5. 프로젝트에 Open API Specification 정의하기이력서1. 이력서 수정하기프로젝트도커이번 주 최대 주제는 도커이다. 도커를 익히고, 만든 서비스를 컨테이너화 해서 도커에 띄우고, 이렇게 띄운 ..

서비스 하나 만들며 익힌 기본기에 대한 내용이다.기본 서비스 만들기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핵심 기능을 하는 서비스를 하나 만드는 시간을 가졌다. 단 하나의 메서드의 동작을 구현하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보면서 여러 기본기를 익힐 수 있었다.기본 서비스 구성읻민스가 진행중인 현재 프로젝트는 페이 서비스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 페이 서비스의 가장 핵심 기능은 "결제"이다. 결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뤄지도록 구성했다. 이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아래와 같이 구성했다.com.ydmins.paymentservice│├── controller│ └── PaymentController.java│├── domain│ └── payment│ ├── Payment.jav..

F-Lab Java Backend 과정 8주차 후기 글이다.F-Lab Java Backend 과정 8주차8주차 멘토링 주제8주차 멘토링 주제는 아래와 같았다.이론1. Open API Spec2. RestAPI3. MSA4. Docker 프로젝트1. 프로젝트 생성 하기2. 가장 핵심 기능을 갖춘 간단한 서비스 구현하기이력서1. 이력서 수정하기하는 것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이론시간 배분 실패8주차 동안에는 '엘리스 코딩 챌린지' 참여와 함께 했는데 예상치 못하게 시간을 너무 많이 사용해서 이론에 시간 배분을 실패했다. 때문에 깊게,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진 못했고 각 주제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정도로 준비했다.공부 과정GPT와 대화하며 알아야 하는 개념들과, 장단점 들을 정리하였다.프로젝트프로젝트는 좀더 자세히..